영어 수업 나눔

주제 중심 수업 : SDGs-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수업(Goal 3 : Healthy Lives and Promote Well-being) 건

다소루 2022. 11. 30. 17:42
728x90
반응형

주제 중심 수업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가운데 세번째 목표는 건강한 삶과 잘먹고 잘 사는 방법을 아는데 있다.
먹을 것이 넘쳐나고 있지만 우리 아이들은 건강한 음식을 먹는 것에는
관심도가 낮고 안다고 하더라도 쉽게 도전하지 않는다.
또한 놀거리, 즐길거리가 손 안에 모두 존재하기 때문에 밖에서 뛰어 노는 아이들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이번 주제 중심 수업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수업의 세번째 목표(건강한 삶)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 자신의 식습관과 신체활동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계획을 짧은 문장으로 작성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한다.
이전의 활동들이 그림을 그리고 발표하고 토론하고 영어로 글을 작성하는 시간이었다면
이번 활동은 퀴즈를 풀고 스스로 생각해보는 흥미 위주의 개인 활동들로 이루어져 있다.

Traffic Light

첫번째 활동은 신호등 게임이다.
빨간불, 노란불, 초록불로 구성된 신호등을 보며 정지, 감속, 주행을 결정하듯이
우리 주변의 음식들을 신호등으로 분류하여 식습관을 돌아보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앞서 1번 질문에서 학생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모두 적게 한다.
지금 먹고 싶은 음식, 내가 좋아하는 음식 등등 적게 하면 아이들은 신이 나서 이런 저런 음식을 적는다.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이를 공유하게 하면 음식에 대한 호불호와 취향도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적은 음식을 2번 질문에서는 건강한 음식과 건강하지 않은 음식으로 분류하게 한다.
학생들이 적은 음식은 대부분 건강하지 않은 음식으로 분류된다는 안타까운 결과가...
하지만 모든 것이 그렇듯 이분법적으로 구분할 수는 없기 때문에
판단은 학생들에게 맡기고 교사는 학생들의 대답을 온전히 받아들여 주자.

음식을 건강한 것과 건강하지 않은 것으로 나눴다면
이제 설문퀴즈를 통해 자신의 식습관을 돌아보게 한다.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하루에 과일을 몇번이나 먹나요?
a) 전혀 안먹는다
b) 한번
c) 두번 이상

2. 아침으로 보통 무엇을 먹나요?
a) 아침을 안 먹는다
b) 시리얼이나 빵같은 빨리 먹을 수 있는 것
c) 밥, 국, 계란과 같은 잘 차려진 따뜻한 음식

3. 저녁으로 보통 무엇을 먹나요?
a) 저녁을 안 먹는다
b) 빵, 피자, 햄버거 같은 패스트 푸드
c) 고기, 생선, 야채와 같은 잘 차려진 음식

4. 보통 하루의 마지막 식사는 언제인가요?
a) 자기 30분 전까지 먹는다
b) 자기 한시간 전까지 먹는다
c) 자기 두시간 전 혹은 그 이전까지 먹는다

5. 하루에 간식(과자, 사탕, 초콜렛)은 몇번이나 먹나요?
a) 4번 이상
b) 두세번
c) 한번 혹은 안 먹는다

6. 하루에 야채는 몇번이나 먹나요?
a) 안 먹는다
b) 한번에서 세번
c) 네번 이상

7. 일주일에 패스트푸드는 몇번이나 먹나요?
a) 세번 이상
b) 한두번
c) 안 먹는다

8. 음식을 먹을 때 보통 무엇을 마시나요?
a) 탄산 음료 혹은 쥬스
b) 천연 과일 쥬스(에이드 혹은 차)
c) 물

9. 하루에 당분이 함유되어 있는 음료는 얼마나 마시나요?
a) 세번 이상
b) 한두번
c) 안 먹는다

학생들과 함께 질문과 답변을 읽어가면 자신에게 해당되는 답변에 체크한다.
그리고 점수를 계산하게 한다. (a는 1점, b는 2점, c는 3점이다.)
이후 총합 점수에 따른 결과를 알려준다.
해당 되는 학생들에게 손을 들라고 하면 학생들의 식습관을 파악하기 더 쉽다.

9-15점 : 식습관이 매우 건강하지 않습니다. 과일, 채소를 많이 먹고 물을 많이 섭취하세요.
또한 과자 대신 과일과 견과류를 섭취하세요.
16-21점 : 건강한 식습관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노력하고 물을 많이 섭취하세요.
22-27점 : 식습관이 아주 건강합니다. 축하합니다.


자신의 식습관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면
이제 신호등 활동으로 가보자.

학생들에게 신호등 색깔을 설명하고 각각의 의미를 알려준다.
그리고 표에 있는 음식들을 각각의 표에 분류하게 해본다.
표에 있는 음식들을 모르는 학생이 있다면 사진과 함께 보여주도록 한다.
음식은 개인의 취향에 맞게 변형하여 제시할 수도 있다.

학생들이 음식을 모듀 분류하고 나면 하나씩 하나씩 학생들과 확인을 해본다.
하나의 음식을 두고 학생들의 의견이 갈릴 수 있는데
이 때 교사는 해당 음식의 영양소 및 효능, 부작용 등을 알려주고 의견을 정리해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어떤 음식을 우리가 가까이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음식을 멀리 해야 하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보도록 한다.

Are You Active or Not?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뒤로 하며 음식만 잘 먹는다고 건강한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져본다.
학생들은 알고 있다.
운동도 해야 건강해진다는 것을..
다만 하기 싫을 뿐이다.
그러면 이제 자신들의 신체 활동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식습관을 돌아보듯이 신체활동을 돌아보는데에도 설문 퀴즈를 활용한다.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일주일에 몇번이나 공놀이, 자전거 타기 등과 같은 야외 활동을 하나요?
a) 일주일에 4-5번
b) 일주일에 2-3번
c) 안 한다.

2. 하루에 심장이 빨라질 정도의 운동을 얼마나 하나요?
a) 60분 이상
b) 30-60분
c) 0-30분

3. 걸어서 등학교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날은 얼마나 되나요?
a) 거의 매일
b) 가끔
c) 전혀 안 한다.

4. 하루에 TV 시청, 컴퓨터 혹은 모바일 게임, SNS를 하는 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a) 1-2시간
b) 2-3시간
c) 3시간 이상

5. 가족들과 산책, 수영과 같은 신체 활동은 얼마나 자주 하나요?
a) 일주일에 세번 이상
b) 일주일에 한두번
c) 전혀 안 한다.

6. 방과후 혹은 체육 시간에 축구, 야구와 같은 신체활동을 하나요?
a) 네
b) 아니오

학생들과 함께 질문과 답변을 읽어가면 자신에게 해당되는 답변에 체크한다.
그리고 점수를 계산하게 한다. (a는 3점, b는 2점, c는 1점이다.)
이후 총합 점수에 따른 결과를 알려준다.
해당 되는 학생들에게 손을 들라고 하면 학생들의 신체 활동 습관을 파악하기 더 쉽다.

14-18점 : 신체 활동 습관이 아주 건강하네요. 잘하고 있어요. 계속 노력해주세요!
9-13점 : 잘하고 있어요. 계속 노력하면서 TV와 게임을 줄여봅시다.
5-8점 : 신체 활동 습관이 매우 건강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하루에 30분씩 일주일에 다섯번 이상 운동합시다.
많이 걷고 TV와 게임은 줄여봅시다.


식습관과 신체 활동 습관까지 모두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러면 이제 더 나은 건강을 위해 그리고 잘먹고 잘살기 위해
학생들이 무엇을 해야하는지 결심하도록 해보자.

더 나은 건강을 위해 앞으로 해야할 일을 두가지 적도록 한다.
하나는 식습관에 대해 하나는 신체 활동에 대해 적도록 하고
이에 대한 예시 문장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작성이 완료되면 학급 전체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주제 중심 수업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의 세번째 목표 건강한 삶(healthy lives)의 수업을 마무리 해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