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수업 나눔

주제 중심 수업 : SDGs-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수업(Goal 4 : Quality Education) 양질의 교육 1탄

다소루 2022. 12. 2. 17:42
728x90
반응형

'교육받을 권리'는 대한민국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권리로서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능력에 따라 교육받을 권리:교육받을 자는 인종·성별·신앙·사회적 신분 및 재산·가정환경 등에 차별을 받지 않고 오직 정신적·육체적 능력에 따라 교육받을 권리이다. 그러나 정신적·육체적 능력이 부족한 자에 대하여도 적절한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② 균등하게 교육받을 권리:이는 법 앞의 평등원칙을 교육적 측면에서 구체화한 것이다. 따라서, 국민은 자신의 성별·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으로 교육상의 어떠한 차별도 받지 않는다.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는 단지 국가가 소극적으로 교육에 있어서 차별대우하지 않을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교육의 기회가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될 수 있도록 국가가 적극적 배려를 할 것을 의미한다.

 

③ 교육받을 권리:권리보장의 범위는 학교교육이 가장 중요하지만, 그 밖에 평생교육으로 사회교육·가정교육·공민교육 등이 있다. 이를 위해 헌법은 특히 국가의 평생교육 진흥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하지만 이 세상 모두가 이런 당연한 권리를 누리고 있을까?

그리고 학교에 다닌다는 것이 곧 양질의 교육(Quality Education)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런 점에서 주제 중심 수업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의 네번째 목표는 양질의 교육과 통합교육에 대해 다루고 있다.

특히 여성의 교육에 조금 더 집중하여 이번 목표를 가르치고자 했다.

이번 네번째 목표는 1,2탄으로 나누어 진행하고자 한다.

1탄에서는 세계 속에서 학생들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고 있지 못하는 이유와 해결책을 중심으로 

2탄에서는 장애를 이해하고 이들의 관점에서 영시를 작성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Original and Effective Solutions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번 학습의 목표는 세계 속 학생들이 교육을 받지 못하는 원인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독창적(original)이고 효과적(effective)인 해결책을 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두개의 영상을 보여주도록 한다.

개별 학습을 위해 QR코드로 제시할 수도 있고 교사의 주도하에 학급 전체에게 보여줄 수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53NK6DJzVw&t=1s

출처 : UNICEF YouTube 채널

 

https://www.youtube.com/watch?v=dFqiYM2l9w8

출처 : UNHCR YouTube 채널

 

두 영상은 안타깝게도 한국어 자막이 제공되지 않고

제공된다 하더라도 보기 어려운 형태로 제공이 된다.

따라서 영상을 시청한 뒤에는 교사가 한번 내용을 다시 설명해주는 시간이 필요하다.

 

시청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학생들에게 영상 속 아이들이 직면한 문제가 무엇인지 생각해보도록 한다.

어느 나라에 살고 있는지, 어떤 환경에 있는지, 학교를 가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등을 적게하고

이를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공유한 뒤, 자세한 설명을 덧붙여준다.

학생들의 배경 지식에 따라 대답이 쉽게 나올수도 있고 잘못된 대답을 할 수도 있다.

교사는 정확하게 학생들의 수준을 파악하고 설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세계지도를 통해 각 나라의 위치와 주변국과의 관계 등을 설명해준다면 더 유의미할 수 있다.

 

학생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 공유가 되었다면

이제 해결책을 생각하기 전 해결책의 기준이 되는 독창성(Originality)와 유효성(Effectiveness)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한다.

각 단어의 정의와 의미를 적게하고 이를 학급 전체와 공유하여 학생들이 각 단어에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한다.

 

단어에 대한 정의와 의미가 정리되었다면

이제를 각 단어의 정의를 바탕으로 각 영상마다의 해결책을 제시하도록 한다.

이 때, 학생들이 다양한 입장에서 해결책을 생각해보도록 한다.

한국인 봉사자, 현지인, 정치인, 국제기구 종사자, 기업가 등등 

다양한 입장에서 해결책을 제시하도록 하면 생각의 범위가 더 넓어지고

본인의 진로와 연계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학생들 모두가 해결책을 생각해보고 정리했다면 이제 이를 학급 전체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의 의견이 무시되지 않고 존중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형성하고

이를 교사가 잘 정리하여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중 최고의 의견을 학생들 스스로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혹 이러한 과정이 부담될 수 있다면

학생들이 1:1, 2:2, 4:4 처럼 점점 인원수를 늘려가며 피라미드식 토의를 해보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의견을 선정하도록 하되,

토의 과정에서 의견을 수정하거나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면 더 좋은 토의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렇게 주제 중심 수업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의 네번째 목표 양질의 교육(quality education) 수업을 마무리 해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