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전세계에 많은 인구가 영양 부족으로 죽어가고 있는 반면
많은 인구는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죽어가고 있다.
우리는 살아가기 위해 먹어야만 한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무엇을 먹어야 하는지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주제 중심 수업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수업의 두번째 목표 ‘기아 종식’(Zero Hunger)은 기근과 영양 부족을 종식하고
2030년까지 지속 가능한 먹거리 생산을 확보하는데에 있다.
학생들이 전세계 영양 부족의 원인과 해결책을 고민하고
지속 가능한 먹거리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활동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더불어 영양소에 대한 표를 비교하는 글을 작성하는 활동을 통해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모의평가, 전국연합학력평가에서 반드시 출제되는
표의 데이터를 비교/대조 분석하는 문제 유형에 익숙해지도록 하는데 이번 주제 중심 수업의 목표로 한다.
What causes hunger?
먼저 학생들이 기근과 기아가 왜 발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생각하게 하기 위해 동영상 자료를 제시한다.
동영상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일괄적으로 보여줄 수 도 있지만
개별학습을 위해 QR코드로 제시할 수도 있다.
동영상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zOyI6N4Teq0&t=2s
동영상은 총 2번 시청한다.
첫번째 시청에서는 내용은 신경쓰지 않고 모르는 단어, 익숙하지 않은 단어를 표에 기록하도록 한다.
이후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단어를 가르친다.
또한 반드시 알아야 하는 단어들도 이 시간을 통해 언급해준다.
두번째 시청에서는 세부적인 내용에 집중하여 다음의 퀴즈를 풀게 한다.
퀴즈는 학생들이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동영상 내용을 거의 그대로 활용하였다.
퀴즈에 대한 정답을 확인하고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주면
기근과 기아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해 간단하게 언급해준다.
Pie Charts
이제 나의 식습관을 돌아볼 수 있도록 파이차트를 그려보도록 한다.
하루에 내가 섭취하는 식재료를 고기, 유제품, 곡식, 기타로 분류하여 생각하게 하고
이를 예시의 그래프를 참고하여 그려보게 한다.
각각의 식재료를 대표하는 음식들을 소개해주면 학생들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교사도 그래프를 그려보며 학생들에게 모델링을 해주면 좋다.
그래프가 완성되었다면, 학생들이 자신의 그래프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왜 해당 식재료를 제일 많이 섭취하는지 이유도 설명하게 하면
학생의 평소 생활습관도 파악할 수 있다.
발표의 시간이 끝났다면 이제 학생들에게 다음의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어떤 음식이 가장 영양가가 높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보고 그 이유도 함께 설명하게 한다.
다음으로는 어떤 음식이 가장 지속 가능하다고 물어보고 그 이유도 함께 설명하게 한다.
발표를 모두 들은 뒤에 각각의 음식들이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해준다.
고기와 우유 섭취를 줄여야 하는 이유, 대체육과 식물성 우유가 인기를 끄는 이유 등을 설명해주면
학생들은 자신의 식습관을 돌아보고 지구 환경을 위해 어떤 것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게 된다.
이제 두 나라의 칼로리원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학생들에게 제시한다.
그래프의 자료는 많은 곳에서 구할 수 있겠지만 다음의 사이트에 국가별로 잘 정리되어 있다.
다만 2011년이 최신 자료라는 점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다.
https://www.nationalgeographic.com/what-the-world-eats/
What the World Eats
Daily diets vary considerably around the world.
www.nationalgeographic.com
나는 여러나라들 가운데 한국과 호주를 선택하였다.
한국과 다른 나라를 비교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칼로리양이 비슷한 호주를 선택하게 되었다.
위의 그래프를 학생들과 함께 읽어보고 각각의 칼로리원에 해당하는 대표 음식들을 이야기해본다.
두 나라의 표를 비교/대조하기 위해 다섯개의 질문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그래프를 보며 해당 질문에 답변하도록 한다.
수능 및 모의평가, 전국연합학력평가에서 주로 사용되는 최상급 및 비교급 표현, 분수/배수 표현을 미리 알려주고
질문에 이를 활용하여 답변하게 하면 다음 비교/대조 글쓰기 활동에 큰 도움이 된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모두 완료가 되었다면 이를 활용하여 문장을 만들도록 한다.
문장과 문장 사이를 연결사/접속사와 대명사 등을 사용하여 논리적인 글이 되도록 피드백을 제공해준다.
이렇게 주제 중심 수업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의 두번째 목표인 기아 종식(zero hunger) 수업을 마무리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