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라는 것이 대국민 사기였음이 밝혀졌지만
최근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으로 인해 깨끗한 물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
우리가 당면한 문제인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주제 중심수업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의 여섯 번째 목표인
건강하고 안전한 물 관리(Clean Water and Sanitation)에서는
나와 우리 주변의 물 사용 습관을 돌아보고
이를 신문 기사 형식으로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한다.
1. How much water does my friend waste?
이 활동의 목표는 친구가 일상생활에서 물을 얼마나 낭비하고 있는지
인터뷰 활동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기사로 작성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본격적인 활동에 앞서 깨끗한 물과 위생의 중요성
그리고 건강하고 안전한 물 관리의 전 세계적 상황을 알아본다.
위 영상은 깨끗한 물과 위생이 코로나19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영상이다.
영상을 보며 학생들에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적어보게 한다.
이후 영상의 내용과 전세계적 상황, 학생들의 생각을 공유해 본다.
다음 질문은 학생들에게 충격을 주기 위한 활동이다.
우리가 평상시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고 버리는 물건, 음식들을 위해
얼마나 많은 물을 소비하는지 적어보게 한다.
1) 한잔의 커피를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
2) 200g 초콜릿을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
3) 티셔츠 한 장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
4) 한벌의 청바지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
학생들의 정답을 서로 공유하고 비교해 보도록 한다.
이후 water footprint의 개념을 설명한 뒤
학생들과 함께 각 문제의 정답을 찾아본다.
2. Interview Your Friend and Write a News Article
자 이제 건강하고 안전한 물 관리를 위해 친구들을 인터뷰해 볼 시간이다.
짝꿍을 지정해 주고 서로 인터뷰를 해보게 할 수도 있고
돌아다니면서 원하는 친구와 인터뷰 활동을 진행하게 할 수도 있다.
1) 매일 얼마나 많은 물을 쓰고 있나요?
2) 어떤 활동에서 물을 가장 낭비하고 있나요?
3) 하루에 손을 몇 번 씻고 있나요?
4) 물 사용을 줄이기 위해 어떤 일을 하고 있나요?
5) 자신만의 질문
인터뷰 활동을 마쳤다면 뉴스를 작성하기 전
정보를 6하 원칙에 의거하여 정리하도록 한다.
6하 원칙에 의거하여 정보를 정리하였다면
이제 뉴스 기사를 이루는 몇 가지 요소에 대해 알려준다.
뉴스 기사를 이루는 헤드라인, 작성자, 장소
리드, 본문, 사실과 인용문을 알려주고
정리한 정보를 바탕으로 간단한 문장을 작성하게 한다.
마지막 활동으로 이제 본격적인 기사를 작성한다.
학생들이 신문 기사를 작성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샘플 기사를 보여주고 이를 모방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기사 작성에 친숙하다면 본인만의 기사를 작성할 수 있다.
기사 작성이 완성되면 교사가 피드백을 주거나
동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결과물을 다른 친구들과 갤러리 워크 형식으로 공유하도록 한다.